오늘은 마음이 묵직해지는 하루입니다. 전 세계 수많은 이들의 마음을 따뜻하게 어루만졌던 프란치스코 교황께서 2025년 4월 21일, 로마에서 선종하셨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저도 천주교 세례를 받은 카톨릭 신자로 아침부터 무거운 소식을 듣고 하루를 많은 생각을 하며 보냈네요.
부활절의 여운이 채 가시기도 전에 들려온 안타까운 소식에, 많은 이들이 깊은 슬픔과 아쉬움 속에서 교황님의 삶을 되돌아보고 있습니다.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
프란치스코 교황은 2013년, 역사상 첫 남미 출신 교황으로 선출된 제266대 교황입니다. 본명은 호르헤 마리오 베르골리오, 아르헨티나 출신으로 평생을 가난한 이들과 소외된 이들을 위한 삶에 헌신했던 분이셨죠.
교황으로서의 행보도 그 철학과 일관되었습니다. 그는 화려한 교황궁 대신 소박한 게스트하우스를 거처로 삼았고, 고급 차량 대신 소형차를 타고 다녔습니다. 그렇게 그는 ‘가난한 이들의 성자’로 불리며 전 세계인의 존경을 받았습니다.
프란치스코 교황 건강 악화
하지만 최근 들어 건강에 큰 이상이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지난 2월부터 폐렴과 기관지염으로 여러 차례 병원에 입원하게 되었고, 38일이라는 긴 입원 기간을 거친 뒤 회복세를 보이며 바티칸으로 돌아왔습니다.
그 모습에 많은 신자들은 회복에 대한 희망을 품기도 했습니다. 산소마스크를 착용하고 휠체어에 의지한 채로도 공개 일정을 소화하며 ‘끝까지 사명을 다하려는’ 모습은 감동을 안겼습니다.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 서거 원인
그러나 회복세는 오래가지 못했습니다. 교황청은 4월 21일 오전 7시 35분, 프란치스코 교황이 선종하였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88세인만큼 건강 악화가 선종 서거 원인으로 보입니다.
평신도가정생명부 장관 케빈 패럴 추기경은 “교황님께서 아버지의 집으로 돌아가셨다”라고 전하며 교황님의 마지막 여정을 엄숙히 알렸습니다. 향년 88세, 프란치스코 교황의 인생은 사랑과 섬김으로 가득 찬 여정이었습니다.
프란치스코 교황 한국과의 인연
교황님의 선종 소식은 단지 종교계에만 국한된 일이 아니었습니다. 그가 전 세계에 전한 ‘화해와 용서’, ‘연대와 사랑’의 메시지는 종교를 초월해 모든 인류에게 울림을 주었기 때문입니다. 특히 한국과의 인연도 깊습니다.
2014년 방한 당시, 그는 세월호 유가족과 음성 꽃동네를 방문하며 고통받는 이들을 따뜻하게 품었습니다. 이 모습은 많은 국민들에게 큰 위로와 감동을 안겨주었고, 아직까지도 선명하게 기억되고 있습니다.
교황은 단지 가톨릭의 수장이 아니라, 행동하는 철학자이자 인간 중심의 리더였습니다. “찬찬히 차를 마시며 신학을 논하는 신자가 아닌, 고통받는 이들을 위해 실천하는 용감한 신자가 되어야 한다”는 그의 말은 지금의 세상에도 큰 울림을 줍니다.
교황님의 선종은 하나의 시대가 저물었음을 뜻합니다. 그러나 그의 삶과 말, 그리고 따뜻한 미소는 오랜 시간 우리 곁에 머물 것입니다.
현재 바티칸에서는 교황의 장례와 새로운 교황 선출을 위한 준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전 세계의 신자들은 그를 추모하며 기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교황님이 강조했던 ‘모든 형제들(Fratelli Tutti)’ 정신은 앞으로도 많은 이들의 이정표로 남을 것 같습니다.
프란치스코 교황 사랑과 헌신
우리는 오늘, 위대한 목자를 떠나보냈습니다. 하지만 그가 남긴 사랑과 헌신, 그리고 실천의 발자취는 오래도록 우리의 마음을 지켜줄 것입니다. 프란치스코 교황께서 남기신 사랑과 실천의 정신을 잊지 말고 봉사하는 마음으로 살아야겠다는 마음으로 글을 마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