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이 다가오면 유독 설레는 이유가 있는데요. 따스한 햇살, 곳곳에서 피어나는 봄꽃, 그리고 공휴일이 많다는 것! 올해는 더욱 특별한 기대가 모이고 있는데요. 이유는 바로 5월 2일 임시공휴일 지정 여부입니다.
이 날이 공휴일로 지정된다면, 무려 6일간의 초대형 황금연휴가 가능해지기 때문이죠. 하지만 과연 진짜 그렇게 될까요? 그 배경과 가능성, 그리고 그로 인해 벌어질 수 있는 일들을 지금부터 함께 살펴볼게요.
5월 2일 임시공휴일 지정?
올해 5월은 공휴일 구성이 예사롭지 않습니다. 5월 1일은 근로자의 날, 5월 3일은 금요일, 4일은 토요일, 5일은 어린이날 겸 부처님 오신 날, 6일은 대체공휴일입니다.
여기서 5월 2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된다면? 1일부터 6일까지 연속된 연휴가 생기며, 직장인들은 역대급 황금연휴를 맞이하게 됩니다. 이와 관련해 최근 정부와 정치권에서 임시공휴일 지정 여부를 두고 논의가 오가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임시공휴일 지정해 보니 효과는?
사실 정부는 설 연휴 기간(1월 27일 포함)에도 임시공휴일을 지정한 바 있죠. 이는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내수경제를 활성화하자는 취지에서 비롯됐습니다.
당시 기대와는 달리, 연휴 동안 해외여행 수요가 급증하면서 국내 소비 촉진 효과는 미미했다는 평가도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1월 임시공휴일이 포함된 달의 출국자 수는 전년 대비 7.3% 증가했고, 지난해 10월 임시공휴일 기간 역시 해외 출국이 16.6%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5월 2일 임시공휴일 지정 후 해외로?
이러한 점에서 5월 2일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경우 국내 내수보다는 해외 소비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특히 일본의 벚꽃과 봄꽃 시즌과 맞물리며, 항공권 가격 상승과 국내 관광지 혼잡 등의 문제가 예측됩니다.
반면, 원화 대비 엔화 강세가 일본여행 수요에 다소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관측도 있어, 해외 수요가 무조건 늘어난다고 단정하긴 어렵죠.
조기 대선 임시공휴일 지정
또한, 6월 3일에 치러질 조기 대통령 선거일이 이미 임시공휴일로 지정되어 있다는 점도 변수입니다. 연이어 공휴일을 지정하는 데 정부의 부담이 클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정치권과 여론의 분위기에 따라 상황은 언제든 바뀔 수 있으며, 여전히 많은 직장인들은 희망의 끈을 놓지 않고 기다리고 있습니다.
임시공휴일 지정 절차는 기획재정부, 여당 등 관련 부처 협의를 거쳐 인사혁신처가 국무회의에 안건으로 상정하고, 최종적으로 국무회의에서 결정됩니다. 아직 명확한 입장이 나오진 않았지만, 정부의 한마디에 국민의 연휴가 좌우되는 중요한 시기인 만큼 향후 발표가 주목됩니다.
5월 2일 임시공휴일 지정된다면?
5월 2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된다면, 많은 사람들이 여유롭고 활기찬 연휴를 보낼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그로 인한 경제적 효과와 사회적 영향에 대해서는 좀 더 신중한 판단이 필요한 시점이기도 하죠.
6일간의 황금연휴, 필요하다고 느끼시나요 아니면 오히려 경제적 우려가 크다고 보시나요? 5월 2일 임시공휴일 지정이 되지 않더라도 필요하다면 개인 연차, 월차 등을 사용해서 황금연휴를 즐겨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